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6 CPX 기침 CPX에서 순환기 핵심 주제가 C/D/P라면, 호흡기 핵심 주제는 기침과 객혈이라고 할 수 있다. (정확히는 기침, 호흡곤란, 객혈의 세 항목이 호흡기의 핵심 CC라고 할 수 있는데, 이미 호흡곤란은 C/D/P에 속해 있으니) 그런데 병력 청취에서 호흡에 해당하는 'A' 항목은 C/S/R(cough/sputum/rhinorrhea)이다. 사실 C/S/R은 CPX를 준비할 때 자주 물어보게 되는 증상들을 임의로 묶은 것에 불과하므로, 개인에 따라 의견이 다를 수 있다. 내가 객혈을 C/S/R에 넣지 않은 이유는 1) CDP/CSR로 나누면 암기가 편하다 2) 객혈은 호흡기 주제가 아니라면 물어볼 일이 거의 없다 3) 만약 환자가 가래가 있다고 하면 피 동반 여부를 물어볼 것이니 괜찮다 이기 때문이다. 1.. 2025. 5. 25. CPX 두근거림 순환기 핵심 주제인 C/D/P(chest pain/dyspnea/palpitation)의 마지막인 두근거림. 앞선 가슴통증이나 호흡곤란하고는 약간 느낌이 다르긴 한데, 그래도 전반적으로 저 둘과 비슷하기는 하다. 사실 두근거림의 경우 가슴통증이나 호흡곤란 같은 증상과 함께 나타날 경우, CC가 될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다. 그래서 공부하다 보면 CPX 두근거림에서 나올 만한 원인 질환은 부정맥(특히 PSVT)이나 갑상샘, 생리적 두근거림 정도인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그렇다고 시작하기 전부터 너무 저 3가지 질환으로 단정 짓지는 말고...) 1. 두근거림의 원인 CPX를 시작하기 전, 대기시간에 해야 할 일은 환자의 주 증상(CC)을 확인하고 그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 질환을 떠올려 전체적.. 2025. 5. 24. CPX 호흡곤란 가슴통증과 호흡곤란은 뭔가 각각 순환/호흡에 국한된 CC 같아 보이지만 실상은 두 주제 모두 순환과 호흡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그래서 아예 나는 이 호흡곤란을 순환기 주제로 분류하였다. 그러면 CPX 'A' 항목을 암기할 때 순환 CDP / 호흡 CSR로 3글자씩 묶을 수 있어 암기가 편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C/D/P는 CPX를 준비할 때 서로 겹치는 내용이 많아 한 번에 같이 공부하는 것이 효율이 좋다는 이유도 있다. 1. 호흡곤란의 원인 CPX를 시작하기 전, 대기시간에 해야 할 일은 환자의 주 증상(CC)을 확인하고 그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 질환을 떠올려 전체적인 진료의 흐름을 생각해 두는 것이다. 그래서 먼저 호흡곤란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 질환들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하고 넘어가도록 .. 2025. 5. 18. CPX 가슴통증 왜인지 모르겠지만 내과 공부의 시작은 순환기 파트부터 시작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각종 자료들의 내과 파트를 보면 순환기가 첫 번째로 나와있는 경우가 많아서 그런 것 같은데, 그렇다면 그 자료들은 왜 순환기를 가장 앞에 배치했을까? 아무튼 그래서 CPX 주제에 대한 블로그 글도 순환기 핵심 주제인 C/D/P(chest pain/dyspnea/palpitation)부터 시작하려고 한다. 1. 가슴통증의 원인CPX를 시작하기 전, 대기시간에 해야 할 일은 환자의 주 증상(CC)을 확인하고 그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 질환을 떠올려 전체적인 진료의 흐름을 생각해 두는 것이다. 그래서 먼저 가슴통증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 질환들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하고 넘어가도록 하겠다. 가슴통증 하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2025. 5. 17. CPX의 기본 지금까지와는 다르게 앞으로는 의사 국가고시 실기 시험인 CPX 주제에 관한 내용도 블로그에 한번 다뤄보려고 한다. 처음에는 지금까지 하던 대로 토요일에 일반 의학 내용을 다루는 글을 올리고 CPX 글은 일요일에 올릴까 했는데, 도저히 일주일에 글을 2개씩 작성할 여유는 안 되는지라, 일단 앞으로 몇 주 동안은 토요일에 CPX 관련 글만 올리게 될 것 같다. ※ CPX에 대한 글은 업로드 이후 공부를 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내용이 수정될 수 있다. 1. 총론CPX의 흐름은 크게 인트로 → 병력 청취 → 신체 진찰 → 환자 교육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모든 주제가 이 흐름으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고 상담 파트에 해당하는 주제들은 별도의 흐름을 익혀둘 필요가 있다. [인트로]CPX를 시작하자마자 느닷없이 언제.. 2025. 5. 10. 일차성 알도스테론증 이번에는 오랜만에 내분비 쪽에 글을 쓰게 되었다. 저번에 부신의 구조와 기능(링크)에 대하여 간단하게 다룬 적이 있으니 이어서 부신 질환들을 하나씩 다루려고 하는데, 구조상 바깥쪽에 해당하는 질환부터 시작하려고 한다. 그래서 먼저 일차성 알도스테론증에 대한 글을 쓰고, 나중에 쿠싱이나 크롬친화세포종 쪽을 작성할 예정이다. (그걸 바로 다음 주에 할지는 모르겠지만...) 일차성 알도스테론증 (Primary Aldosteronism)부신의 구조 상 가장 바깥쪽에 있는 zona glomerulosa에서는 mineralocorticoid를 분비하는데, 대표적인 물질은 알도스테론(aldosterone)이다. 그리고 이 알도스테론이 과도하게 분비되는 경우를 알도스테론증(aldosteronism)이라 한다. 알도스.. 2025. 5. 3.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