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7

객혈 최근 호흡기 관련 문제를 풀다가 알게 된 건데, 틀린 문제들의 공통점 중 하나가 C.C가 객혈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아예 객혈 자체를 다루는 글이 블로그에 하나 있으면 해서 이번 주 글의 주제는 객혈이 되었다. 객혈은 CPX 주제 중 하나이기도 해서 나중에 CPX 카테고리를 만든 후 거기에도 글을 쓰려고 하기에, 이번에는 기초적인 내용 위주로 작성할 예정이다.   객혈 (Hemoptysis)객혈(hemoptysis)이란 기도(respiratory tract)에서 출혈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기도는 원래 액체가 다량 있으면 안 되는 공간이기 때문에 출혈이 발생하면 이를 제거하기 위해 반사적으로 기침이 같이 발생하게 되고, 기침과 함께 피가 나오면서 우리는 호흡기계에 무언가 문제가 있음을 알아차리게 된다... 2025. 4. 5.
알코올 간질환 어쩌다 보니 알코올 간질환에 대한 글을 쓰게 되었다. 주제를 선정하기까지의 과정이 완전 의식의 흐름인데, 저번에 가슴막 삼출을 했으니 이번에는 복수(ascites)를 해볼까? 하고 관련 간담췌 내용을 찾아보다가 문득 알코올 간질환 파트가 눈에 들어와서(...) 바로 결정하게 되었다. 사실 신장 쪽에도 글을 더 쓰고 싶긴 한데, 그쪽은 현재 글 수가 가장 많으니 일단 나중에 하기로 했다.  알코올 간질환 (Alcoholic liver disease)알코올 간질환은 과도한 알코올 섭취에 의해 간에 이상이 생긴 경우를 말하는데, 비교적 가벼운 질환부터 심한 순서대로 보면 알코올 지방간(alcoholic fatty liver), 알코올 간염(alcoholic hepatitis), 알코올 간경변증(alcoholi.. 2025. 3. 29.
가슴막 삼출 공부를 더 해보니 신장 쪽에 글을 더 써야 할 것 같은데, 일단 지난 2주 동안 계속 신장 쪽 내용을 다뤘으니 이번 주에는 다른 주제를 하나 하려고 한다. 그래서 이번에 작성할 내용은 가슴막 삼출인데, 주제를 이것으로 한 이유는 최근에 내가 가슴막 삼출에서 진단의 흐름이 잘 기억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생각해 보니 가슴막 삼출을 했으면 아예 복수(ascites)도 미리 글을 작성해 둘까?  가슴막 삼출 (Pleural effusion)가슴의 흉막강(pleural cavity)은 흉곽 안에 있는 두 개의 가슴막(흉막, pleura) 사이의 공간을 말하는데, 폐 쪽에는 visceral pleura가 있고 흉벽 쪽에는 parietal pleura가 있다. 이 흉막강에는 정상적으로 소량의 흉막.. 2025. 3. 22.
대사성 산증 계속 작성할 것이라는 떡밥만 날리던(?) 산/염기 각론 중 일단 대사성 산증에 대한 글을 한번 써 보기로 했다. 이걸로 신장 카테고리는 글의 개수가 6개가 되어 단독 1위가 되었는데, 신장이나 내분비 쪽에 글이 먼저 많아지는 이유는 이쪽 분야 내용을 설명할 때는 참고할 만한 이미지 자료를 넣지 않거나 적게 넣어도 되는 점 아닐까 생각한다. (심전도, 내시경, X선/CT/MRI... 이런 것들. 그렇다고 이쪽에서 저런 검사를 아예 안 하는 건 아니니 그냥 그런 주제를 내가 피하고 있다고 보는 게 맞겠지.)  대사성 산증 (Metabolic Acidosis)전에 총론(링크)에서 기본적인 내용은 설명을 했는데, 대사성 산증(metabolic acidosis)이란 체내 HCO3의 양이 감소하여 혈액의 pH가 7.. 2025. 3. 15.
고칼륨혈증 전에 말한 대로 일단 산/염기 각론은 뒤로 미뤄 두고, 일단 전해질 쪽 글을 먼저 작성하기로 했다. 신장 part에서 다룰 만한 전해질 이상에는 저/고나트륨혈증과 저/고칼륨혈증이 있는데, 그중에서 우선 칼륨 쪽을 먼저 다루기로 하여 이번 글의 주제는 고칼륨혈증이다. 그렇지만 이번 글이 고칼륨혈증이라도 다음 글이 저칼륨혈증일 것이라는 보장은 없다...  고칼륨혈증 (Hyperkalemia)혈중 칼륨 농도의 정상치는 대략 3.5~5.5 mEq/L이므로, 고칼륨혈증은 칼륨 수치가 5.5를 넘긴 경우를 의미한다. 고칼륨혈증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을 분류하면 크게 과도한 섭취 / 세포 외로의 이동 증가 / 부적절한 배설로 나눌 수 있고, 추가로 진짜 고칼륨혈증이 아닌 pseudohyperkalemia를 고려해 주.. 2025. 3. 8.
간기능검사 #2 (간담도 손상) 일주일 미뤄진 간기능검사 2편. 사실 이번 주도 이래저래 조금 바쁘긴 한데, 한번 시작한 건 끝을 보는 게 맞으니 어떻게든 시간을 내 글을 작성하였다. 다음 주면 벌써 3월이 되는데, 3월부터는 개인 공부 시간을 늘릴 예정이라 블로그 글 작성에도 무언가 변화가 생겨날지도 모른다. (사실 아무것도 안 변할 수도 있다...)  간기능검사 (Liver function tests)간의 기능을 평가할 때는 혈액검사를 통해 여러 가지 항목들을 확인하게 되는데, 검사하는 항목들을 분류해 본다면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각각 배설 기능 / 합성 기능 / 손상 정도를 확인하는 검사인데, 하나의 글에 이 내용들을 전부 작성하면 너무 글이 길어질 것 같아서 간기능검사는 2편으로 나누어 올리기로 했다. 그래서 이곳 2편.. 2025. 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