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11 항생제 원래라면 토요일에 간기능검사 2편을 올려야 하지만, 이번 주에 이런저런 일정이 생겨 글을 작성할 시간이 부족해졌다. 그래서 아예 간기능검사 2편은 다음 주로 미루기로 했는데, 이번 주에 공휴일도 없는데 아예 글을 안 올리는 건 좀 그러니 대신 임시로 항생제 글을 하나 올리기로 했다. 임시로 올리는 게시물이라 이번에는 본문 설명도 길지 않고 카테고리 설정도 안 했다. 나중에 감염 쪽 내용을 다룰 때가 된다면 그때 다시 수정하는 걸로... 항생제 (Antibiotics)일단 항생제(antibiotics)라 하면 「미생물이 생성하는 물질로서 다른 미생물의 성장을 저지시키거나 사멸시키는 것」을 말한다. 그렇지만 현재는 더 이상 미생물이 생성하는 물질에 의존하지 않는 약물도 개발되었기 때문에 항균제(antiba.. 2025. 2. 21. 이상지질혈증 약물 기왕 내분비 카테고리로 돌아온 김에, 이상지질혈증에 사용하는 약물도 정리하고 가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이상지질혈증(고지혈증) 약물을 다루는 글을 바로 작성하기로 했다. 어쩌다 보니 내분비 카테고리가 단독 선두로 치고 나가게 되었네? 이렇게 된 김에 모든 카테고리 글 수를 5개로 맞출까? 이상지질혈증 (Dyslipidemia)이상지질혈증은 사실 고지혈증이라고 더 많이 부르는 것 같은데, 엄밀히 말하면 고지혈증보다는 이상지질혈증 쪽이 더 정확한 표현이다. 밑에서 설명하겠지만 지단백 중 HDL은 많을수록 좋은 것이라서 이상지질혈증에는 HDL 감소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우리 몸에서 3대 영양소라 하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을 의미하는데, 이 중 지방은 일반적으로 중성지방(trigly.. 2025. 1. 25. 골다공증 약물 어쩌다 보니 다시 내분비 카테고리에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사실 계속 카테고리를 하나씩 추가하고 거기에 글을 3개씩 쓸 수는 없으니 결국 과거 카테고리로 돌아올 필요가 있기는 한데, 호흡 바로 전 카테고리인 내분비로 돌아올 줄은 몰랐다. 이 글을 포함해서 당분간은 적당히 아무 분야나 내가 다시 공부하고 싶은 내용을 글로 작성할 예정이다. 골다공증아직 골다공증 자체에 대한 글은 작성하지 않았으니, 일단 임시로 여기에 간단하게 골다공증에 대한 내용을 작성해 두었다. 골다공증은 「골강도의 약화로 골절 위험이 증가하는 질환」인데, 골강도(bone strength)는 골량(quantity)과 골질(quality)에 의해 결정된다. 골량은 골밀도(bone mineral density, BMD)라고 보면 되는데, .. 2025. 1. 18. 항결핵제 결핵균(M.tuberculosis)에 대하여 간단하게 알아보았으니(링크), 이제 본격적으로 결핵약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결핵균의 특성 때문에 결핵에는 일반적인 항생제보다는 결핵에 특화된 항결핵제를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 그래서 공부를 하다 보면 결핵약의 특성에 대하여 종종 까먹는(...) 일이 발생한다(다른 데서는 잘 안 쓰니까).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심하도록 하자. 항결핵제1차 항결핵제 (HREZ)결핵이 진단되고 나서 별다른 이유가 없으면 (항생제 내성 등이 없으면)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약제는 isoniazid, rifampin, ethambutol, pyrazinamide 이 4가지이다. 치료 방법을 표기할 때는 이들을 각자 하나의 알파벳을 이용해 H/R/E/Z라고 하는데, 일반적인 .. 2025. 1. 4. 당뇨병 약물 #2 : 혈당강하제 전편(링크)에 이어서 당뇨병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2형 당뇨병에서 주로 사용하는 혈당강하제에 대하여 한번 알아보도록 하자. 혈당강하제도 고혈압 약물처럼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있는데, 고혈압과 당뇨는 history taking 시 무조건 확인하고 넘어가는 사항인 만큼 이 질환들에 걸린 환자나 환자가 아니더라도 혈압/혈당이 좋지 않은 경우는 종종 접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내용들을 아는 건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다시 공부하면서 블로그에 글을 올리고 있는 중이다. 혈당강하제2형 당뇨병의 경우 웬만하면 초기에는 인슐린(insulin)이 아닌 혈당강하제를 이용해 혈당을 조절하게 된다. 인슐린이 아니지만 혈당을 낮출 수 있는 혈당강하제는 여러 가지 약물이 있는데, 자주 사용하는 약물들을 주요 기전에 따라 분류하면.. 2024. 12. 14. 당뇨병 약물 #1 : 인슐린 고혈압 관련 내용(혈압약 ABCD)의 작성이 끝나갈 무렵, 다음에는 어떤 주제를 공부하지 하다가 역시 고혈압 다음으로는 당뇨를 다루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내분비 카테고리를 만들고 당뇨병 약물에 대한 글을 작성하려고 하는데, 문득 인슐린 관련 내용은 다른 혈당강하제들과는 분리하여 다루는 게 나은 것 같아서 글을 총 2개로 나누기로 했다. 인슐린 (Insulin)체내 혈당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슐린(insulin)은 췌장(pancreas)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다. 그리고 이 인슐린의 일부 펩타이드를 치환 또는 첨가하여 개발된 약물이 인슐린 제제인데, 이 내용을 세 문단으로 나누어 한번 알아보도록 하자. 인슐린의 분비인슐린은 췌장에 있는 베타(beta) 세포에서 합성되고 분.. 2024. 12. 7.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