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4 이뇨제 이제 준비가 되었으니(?), 본격적으로 이뇨제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이걸로 드디어 고혈압 약제 ABCD를 모두 다루는 데 성공하였다. 약간 인피니티 스톤을 전부 모은 것 같은 느낌이 든다.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약물이 ABCD만 있는 건 아니지만, 주로 사용하는 약물/먼저 사용하는 약물이 이 ABCD인 만큼 이 4가지 약물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을 필요가 있다. (A: acei&arb / B: bb / C: ccb / D: diuretics) 이뇨제 (Diuretics)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이뇨제 계열 5종류에 대하여 다룰 예정이다. 각 이뇨제는 모두 신장 세뇨관의 특정 부위에 작용하여 소변의 양을 증가시키는(이뇨) 효과를 나타내는데, 그렇기에 먼저 신장 세뇨관의 기능에 대하여 어느 정도 .. 2024. 11. 23. 칼슘통로차단제 (CCB) 다음에 작성할 글의 주제를 찾다가, 대표적인 고혈압 치료 약제인 ABCD를 모두 다루고 싶어졌다. 현재 A와 B(ACEI/ARB, BB)는 다루었으므로, 나머지 C와 D에 대한 글을 순차적으로 작성할 예정이다. 따라서 이번 글에서는 C인 CCB를 다루고, 다음 글에서는 D인 diuretics를 다룰 예정이다. 그나저나 이뇨제면 신장 카테고리를 만들어 그쪽에 글을 작성해야겠네? 1. 칼슘 통로 (Ca channel)세포에는 전해질이 통과할 수 있는 여러 통로가 있다. 그중 칼슘 통로(Ca channel)는 당연히 칼슘 이온이 세포를 드나들 수 있게 하는 통로인데, 세포 밖의 칼슘 농도는 세포 안보다 높으므로 기본적으로 칼슘 통로는 열리면 세포 내로 칼슘이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칼슘 통로는 통로를.. 2024. 11. 9.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 억제 약물 (ACEI & ARB) 앞선 글(링크)에서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에 대하여 다루었고, 이어서 이번 글에서는 이 시스템을 억제하는 약물인 ACEI와 ARB에 대한 내용을 다룰 예정이다. 이미 설명했듯이 RAS는 혈압을 높이는 작용을 하므로, 반대로 이를 억제하는 약물은 혈압을 낮추는 약물일 것이다. 1. ACEI (ACE inhibitor) ACE inhibitor는 이름처럼 ACE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물이다. 앞서 ACE의 주요 기능은 안지오텐신 I을 안지오텐신 II로 전환하는 것과 브라디키닌(bradykinin)을 분해하여 불활성화시키는 것이라고 설명한 적 있다. 안지오텐신 II의 주요 작용은 혈관 수축과 Na/수분의 재흡수로 혈압을 높이는 것인데, ACE가 억제되어 안지오텐신 II의 생성이 억제되면 이러한 작용이 일어나지.. 2024. 11. 2. 교감신경계 작용 약물 #2 (항아드레날린성 약물) 앞선 글(링크)에서 교감신경을 항진하는 약물인 아드레날린성 약물에 대하여 다루었고, 이어서 이번 글에서는 교감신경을 억제하는 약물인 항아드레날린성 약물에 대하여 다룰 예정이다. 처음에는 하나의 글에 내용을 모두 작성하려 했다. 그러나 작성 중 생각보다 분량이 많다는 걸 깨달았고, 또 생각해 보니 beta blocker를 다루는 글은 따로 있는 게 더 좋을 것 같기도 해서 1편/2편 구성으로 나누었다. 그래서 목차도 이어서 3번부터 시작한다. 3. 항아드레날린성 약물 (Adrenergic antagonist)교감신경계의 활성을 억제하는 약물은 항아드레날린성 약물 / 아드레날린 길항제(adrenergic antagonist)라 부른다. 말 그대로 교감신경 억제제라는 말도 많이 사용한다. 이것도 굳이 분류를.. 2024. 10. 1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