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와 기능6 부신의 구조와 기능 나는 갑자기 왜 다음 글의 주제로 부신을 선택했는가. 그건 지금까지 공부를 하면서 부신과 관련된 내용이 종종 언급되었기에 한번 다시 공부를 해 보고 싶기도 하고, 카테고리 목록을 보니까 각 카테고리별로 글이 3개씩 있으면 보기 좋을 것 같아서 내분비 쪽에 글을 하나 더 쓰고 싶어서 그렇다. 그러면 이 글 다음에는 무슨 글을 쓰냐고? 그건 다음 주에 생각해 보는 걸로. 부신 (Adrenal Gland)부신(副腎, Adrenal Gland)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신장(腎臟, Kidney=Renal) 옆에 위치한 내분비 기관이다. 정확히는 신장 위쪽에 위치하므로 suprarenal gland라고도 한다. 이 부신은 바로 아래에 있는 신장과 마찬가지로 피질(cortex)과 수질(medulla)로 구성되어 .. 2024. 12. 21. 당뇨병 약물 #1 : 인슐린 고혈압 관련 내용(혈압약 ABCD)의 작성이 끝나갈 무렵, 다음에는 어떤 주제를 공부하지 하다가 역시 고혈압 다음으로는 당뇨를 다루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내분비 카테고리를 만들고 당뇨병 약물에 대한 글을 작성하려고 하는데, 문득 인슐린 관련 내용은 다른 혈당강하제들과는 분리하여 다루는 게 나은 것 같아서 글을 총 2개로 나누기로 했다. 인슐린 (Insulin)체내 혈당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슐린(insulin)은 췌장(pancreas)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다. 그리고 이 인슐린의 일부 펩타이드를 치환 또는 첨가하여 개발된 약물이 인슐린 제제인데, 이 내용을 세 문단으로 나누어 한번 알아보도록 하자. 인슐린의 분비인슐린은 췌장에 있는 베타(beta) 세포에서 합성되고 분.. 2024. 12. 7. 산-염기 평형 총론 이뇨제 글을 작성하면서 느낀 점이 하나 있는데, 그건 내가 공부한 지 오래되어서 그런지 산/염기 평형 내용이 기억이 잘 안 난다는 점이다. 그래서 다음 주제로 산/염기 평형을 다룰까 하다가, 그러려면 블로그에 글을 4개나 작성해야 한다는 걸 깨달았다. 그래서 그건 뒤로 미루기로 하고, 대신 총론 편을 만들어 기초적인 내용만 여기에 정리해 두고 다음 주제로 넘어가려고 한다. 산-염기 평형 (Acid-Base Balance)우리 몸에서 항상 평형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것이 몇 가지 있는데, 신장 part에서 중요한 평형으로는 체액량, 전해질, 산-염기 등이 있다. 여기서 산-염기 평형의 경우 체내 pH, 즉 수소 이온(H)의 농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pH = - log [H+]이다.) 우리.. 2024. 11. 30. 신장 세뇨관 다른 글에서 말한 대로 신장 카테고리에서 가장 먼저 다룰 주제는 이뇨제인데, 이뇨제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려면 먼저 신장 세뇨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그래서 먼저 이번 글에서는 신장의 세뇨관에 대하여 다루고, 다음 글에서 본격적으로 이뇨제에 대한 내용을 다룰 예정이다. 신장 세뇨관 (Renal Tubule) 신장의 기능 단위는 네프론(nephron)이라 하는데, 이 네프론은 사구체/보우만주머니와 세뇨관으로 구성된다. 여기서는 다음에 다룰 이뇨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세뇨관에서의 Na 재흡수 위주로 내용을 서술할 예정이다. 이전에 재활용할 것이라 말했던 신장 네프론 사진(직접 손으로 그렸다...)을 진짜 재활용했다. 사구체(glomerulus)에서 여과되어 생성된 여과액(원뇨)은 세뇨관(renal t.. 2024. 11. 16.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 (RAS) 교감신경계 약물에 대한 게시물을 작성한 후, 다음에는 어떤 내용으로 글을 쓸까 하다가 우선 심혈관계 내용을 몇 가지 다루어 보기로 결정하였다. 그중 일단 혈압과 관련된 글을 써 보려고 하는데, 그러면 먼저 이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을 다루는 것이 좋을 것 같아서 심혈관계 카테고리 첫 글은 RAS로 결정하였다.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 (Renin - Angiotensin System)우선 GPT에게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이 어떤 시스템인지 물어봐 볼까?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RAS)은 우리 몸의 혈압과 체액 균형을 조절하는 중요한 호르몬 시스템으로, 신장, 간, 부신 등이 이에 관여한다. 이 시스템은 주로 혈압이 낮거나 나트륨 농도가 감소할 경우 활성화되며, 혈관을 수축시키고 나트륨과 물의 재흡수를 촉진.. 2024. 10. 26. 자율신경계의 구조와 역할 우리 몸은 수많은 복잡한 신경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중에서도 자율신경계는 우리 몸의 기본적인 생명 활동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중요한 시스템이다. 자율신경계는 신체 내부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우리가 의식적으로 조절할 수 없는 다양한 기능을 관리한다. 이번 글에서는 자율신경계의 구조와 그 역할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위 한 문단은 GPT가 나 대신 작성해 주었다. 역시 GPT, 나보다 더 잘 쓰는 것 같다. 그렇다고 글 전체 대필을 부탁할 순 없으니, 이제부터는 내가 주도적으로 작성해야겠지. 자율신경계란?자율신경계에 대하여 이야기하기 전에, 일단 사람의 신경계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보자. 사람의 신경계(nervous system)는 크게 중추신경계(central n.. 2024. 10. 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