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장6

대사성 산증 계속 작성할 것이라는 떡밥만 날리던(?) 산/염기 각론 중 일단 대사성 산증에 대한 글을 한번 써 보기로 했다. 이걸로 신장 카테고리는 글의 개수가 6개가 되어 단독 1위가 되었는데, 신장이나 내분비 쪽에 글이 먼저 많아지는 이유는 이쪽 분야 내용을 설명할 때는 참고할 만한 이미지 자료를 넣지 않거나 적게 넣어도 되는 점 아닐까 생각한다. (심전도, 내시경, X선/CT/MRI... 이런 것들. 그렇다고 이쪽에서 저런 검사를 아예 안 하는 건 아니니 그냥 그런 주제를 내가 피하고 있다고 보는 게 맞겠지.)  대사성 산증 (Metabolic Acidosis)전에 총론(링크)에서 기본적인 내용은 설명을 했는데, 대사성 산증(metabolic acidosis)이란 체내 HCO3의 양이 감소하여 혈액의 pH가 7.. 2025. 3. 15.
고칼륨혈증 전에 말한 대로 일단 산/염기 각론은 뒤로 미뤄 두고, 일단 전해질 쪽 글을 먼저 작성하기로 했다. 신장 part에서 다룰 만한 전해질 이상에는 저/고나트륨혈증과 저/고칼륨혈증이 있는데, 그중에서 우선 칼륨 쪽을 먼저 다루기로 하여 이번 글의 주제는 고칼륨혈증이다. 그렇지만 이번 글이 고칼륨혈증이라도 다음 글이 저칼륨혈증일 것이라는 보장은 없다...  고칼륨혈증 (Hyperkalemia)혈중 칼륨 농도의 정상치는 대략 3.5~5.5 mEq/L이므로, 고칼륨혈증은 칼륨 수치가 5.5를 넘긴 경우를 의미한다. 고칼륨혈증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을 분류하면 크게 과도한 섭취 / 세포 외로의 이동 증가 / 부적절한 배설로 나눌 수 있고, 추가로 진짜 고칼륨혈증이 아닌 pseudohyperkalemia를 고려해 주.. 2025. 3. 8.
신장기능검사 지난주의 경우 설날 연휴가 있어 글을 작성할 만한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해 그냥 한 주 쉬기로 했다. 휴식을 취했으니 이제 다시 블로그에 글을 올려야지. 일단 이번 주에 올릴 글의 주제는 신장기능검사로 정했다. 신장 카테고리의 경우 산/염기 각론을 아직 안 했는데, 그쪽은 어려운 내용이 많아 뭔가 접근하기가 두렵다(...). 그건 나중에 각오를 다지고 하는 걸로.  1. 사구체 여과율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사구체여과율(GFR)은 말 그대로 신장의 사구체(glomerulus)에서 물질이 얼마나 여과되고 있는지를 보는 지표이다. 신장의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기능은 혈액 속의 노폐물을 걸러내는 것이므로, GFR은 중요한 신장 기능 평가 지표로 사용된다. GFR을 구하.. 2025. 2. 8.
산-염기 평형 총론 이뇨제 글을 작성하면서 느낀 점이 하나 있는데, 그건 내가 공부한 지 오래되어서 그런지 산/염기 평형 내용이 기억이 잘 안 난다는 점이다. 그래서 다음 주제로 산/염기 평형을 다룰까 하다가, 그러려면 블로그에 글을 4개나 작성해야 한다는 걸 깨달았다. 그래서 그건 뒤로 미루기로 하고, 대신 총론 편을 만들어 기초적인 내용만 여기에 정리해 두고 다음 주제로 넘어가려고 한다.  산-염기 평형 (Acid-Base Balance)우리 몸에서 항상 평형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것이 몇 가지 있는데, 신장 part에서 중요한 평형으로는 체액량, 전해질, 산-염기 등이 있다. 여기서 산-염기 평형의 경우 체내 pH, 즉 수소 이온(H)의 농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pH = - log [H+]이다.) 우리.. 2024. 11. 30.
이뇨제 이제 준비가 되었으니(?), 본격적으로 이뇨제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이걸로 드디어 고혈압 약제 ABCD를 모두 다루는 데 성공하였다. 약간 인피니티 스톤을 전부 모은 것 같은 느낌이 든다.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약물이 ABCD만 있는 건 아니지만, 주로 사용하는 약물/먼저 사용하는 약물이 이 ABCD인 만큼 이 4가지 약물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을 필요가 있다. (A: acei&arb / B: bb / C: ccb / D: diuretics)  이뇨제 (Diuretics)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이뇨제 계열 5종류에 대하여 다룰 예정이다. 각 이뇨제는 모두 신장 세뇨관의 특정 부위에 작용하여 소변의 양을 증가시키는(이뇨) 효과를 나타내는데, 그렇기에 먼저 신장 세뇨관의 기능에 대하여 어느 정도 .. 2024. 11. 23.
신장 세뇨관 다른 글에서 말한 대로 신장 카테고리에서 가장 먼저 다룰 주제는 이뇨제인데, 이뇨제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려면 먼저 신장 세뇨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그래서 먼저 이번 글에서는 신장의 세뇨관에 대하여 다루고, 다음 글에서 본격적으로 이뇨제에 대한 내용을 다룰 예정이다.  신장 세뇨관 (Renal Tubule) 신장의 기능 단위는 네프론(nephron)이라 하는데, 이 네프론은 사구체/보우만주머니와 세뇨관으로 구성된다. 여기서는 다음에 다룰 이뇨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세뇨관에서의 Na 재흡수 위주로 내용을 서술할 예정이다.  이전에 재활용할 것이라 말했던 신장 네프론 사진(직접 손으로 그렸다...)을 진짜 재활용했다. 사구체(glomerulus)에서 여과되어 생성된 여과액(원뇨)은 세뇨관(renal t.. 2024. 11. 16.